중화권의 제목은 斷背山 혹은 斷臂山 두 가지가 있는데, 친절한 Shao군의 정보에 의하면 이에 대해 몇가지 추측이 있다는 것입니다.
우선 등(背)과 어깨/팔(臂)은 발음이 비슷한데, 이를 통한 오타일 수도 있다는 설입니다. (그렇다고 하기엔 중화권 신문, 잡지에서 양쪽 다 사용하는 것을 보긴 했습니다만...^^;)
두번째 추측은 처음에 브로크백 마운틴이 중국 언론에 소개되었을 때의 제목이 斷壁山이었는데 절벽의 壁과 등이라는 의미의 背를 합친 형태가 臂라서 그렇다는 설입니다.
마지막은 상당히 심오한데, 팔(臂)이라는 글자가 단수(斷袖: 소매를 자르다)라는 고사에서 파생되었다는 가능성입니다. 한나라 애제(哀帝)가 동현(董賢)이라는 남자 애인과 같이 낮잠을 자다가 급히 일어날 일이 생겼는데, 자신의 소매를 베고 자는 동현을 차마 깨울 수 없어 소매를 자르고 자리를 떳다는 이야기지요. (예언자 무함마드는 고양이에게 이런 서비스를 해줬죠-_-;;)
이 고사 때문에 중국에서는 동성애를 가르켜 단수라고도 부른다고 합니다. 따라서 소매를 연상시키면서 원래 영어 의미인 back=등의 중국어 의미, 등 배(背)자와고도 발음이 비슷한 팔 비(臂)자를 사용했다는 것이죠.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정말 고단수의 번역...의 차원을 넘어선 진정한 의미의 로컬라이제이션이 아닐 수 없습니다.
우선 등(背)과 어깨/팔(臂)은 발음이 비슷한데, 이를 통한 오타일 수도 있다는 설입니다. (그렇다고 하기엔 중화권 신문, 잡지에서 양쪽 다 사용하는 것을 보긴 했습니다만...^^;)
두번째 추측은 처음에 브로크백 마운틴이 중국 언론에 소개되었을 때의 제목이 斷壁山이었는데 절벽의 壁과 등이라는 의미의 背를 합친 형태가 臂라서 그렇다는 설입니다.
마지막은 상당히 심오한데, 팔(臂)이라는 글자가 단수(斷袖: 소매를 자르다)라는 고사에서 파생되었다는 가능성입니다. 한나라 애제(哀帝)가 동현(董賢)이라는 남자 애인과 같이 낮잠을 자다가 급히 일어날 일이 생겼는데, 자신의 소매를 베고 자는 동현을 차마 깨울 수 없어 소매를 자르고 자리를 떳다는 이야기지요. (예언자 무함마드는 고양이에게 이런 서비스를 해줬죠-_-;;)
이 고사 때문에 중국에서는 동성애를 가르켜 단수라고도 부른다고 합니다. 따라서 소매를 연상시키면서 원래 영어 의미인 back=등의 중국어 의미, 등 배(背)자와고도 발음이 비슷한 팔 비(臂)자를 사용했다는 것이죠.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정말 고단수의 번역...의 차원을 넘어선 진정한 의미의 로컬라이제이션이 아닐 수 없습니다.
'영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브로크백 노래 가사 외 기타 잡담... (6) | 2006.04.07 |
---|---|
브로크백 소설 잡담 (6) | 2006.03.25 |
브로크백 마운틴 (10) | 2006.03.21 |
[번역] 이성애자 남성들을 위한 [브로크백] 관람 지침서 (40) | 2006.03.13 |
브로크백 마운틴 관람... (4) | 2006.03.11 |